KAIST PintOS 강의 및 Instruction, 한양대 PintOS Slides를 참고하며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.학습 도중 작성한 내용이라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.fork() 함수 구현하는 데서 시간을 너무 많이 썼다. 위 짤처럼 버그를 고치면, 다른 데서 버그가 났고, 그 버그를 고치면 이전 테스트 케이스가 통과가 안 되는 일이 엄청 많았기 때문이다. 무한 버그의 굴레 끝에 'ALL PASSED' 문구를 봤을 때의 감동을 아직도 잊지 못 하겠다(짜릿해).프로세스 계층 구조 개요Process의 정보에 부모와 자식 field를 추가하여 이를 관리하는 함수를 제작한다. 이때, project1에서 사용되었던 semaphore 개념이 사용된다. Process 관련 system call에는 ..